etc.

Figma

sognociel 2023. 2. 21. 21:49

Figma를 디자인이 아니라 컴포넌트를 나누는 방법으로만 사용해 봤었는데, 디자인적으로 사용해 보기 위해 Figma 강의를 추천받아 단축키 등 필요한 것들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!

 

 

 

 

1. Team 생성

왼쪽 사이드바에 Create new team을 통해 새로운 Team을 만든다.

 

 

 

2. 파일 생성

New design file로 새 파일을 생성!

 

 

 

3. 상단 바의 기능들

- 움직이기

- 프레임 (데스크톱, 모바일 사이즈 등)

- 도형 만들기

- 펜 툴

- 텍스트 (모바일 버전은 보통 14px을 사용한다고 한다)

- 코멘트 확인

- 창 이동

- 코멘트 추가

 

 

 

4. 오른쪽 사이드바 기능들

아이폰 프레임 안의 도형을 오른쪽 사이드바의 툴을 통해 정렬하거나, border-radius를 조절할 수 있다.

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조절하면 10px 간격으로 조정된다.

 

 

  • Design
    정렬, 위치 조정
  • Constraints
    상하좌우 어디를 기준으로 할 건지. scale은 화면 크기에 맞춰서 자동적으로 왔다 갔다 한다.
  • Pass through
    opacity 조절
  • Fill
    도형의 색상을 채우는 곳. 자주 사용하는 색상을 Color styles로 지정해놓을 수 있다. (수정도 편함)

 

자주 사용하는 색상 지정

 

 

 

5. PlugIn

Unsplash를 이용하면 다양한 사진들을 도형 안에 넣을 수 있다. (배경이라던가, 프로필 사진 등)

 

 

 

6. Ctrl + Alt + K  /  Command + Option + K => 컴포넌트 만들기

중복으로 쓰이는 요소들을 컴포넌트로 만든 후, 필요한 개수만큼 복사하고 난 다음 컴포넌트들을 모두 클릭하고 우클릭 -> Add Auto Layout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정렬된다.

처음 만든 컴포넌트(메인 컴포넌트)만 수정해도 복제된 다른 컴포넌트들의 내용까지 같이 수정된다.

 

 

 

7. Prototype

프로토 타입에서 특정 버튼 클릭 후 변하는 화면, 프레임 스크롤링 등을 설정할 수 있다. 꼭! 요소들을 프레임으로 만들어야 한다. 방법은 앞에서 사용한 오토 레이아웃 등으로 정렬을 한 후 우클릭 -> Frame selection

 

 

 

8. 커뮤니티 활용

커뮤니티의 icon kit나 wireframe kit 등을 활용하여 편집해보자.

 

 

 

9. Inspect

CSS, iOS, Android 종류별로 코드를 볼 수 있다.